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안드로이드 앱에서 AI API 연동 후 최적화
    Android Tech Trends 2025. 3. 4. 22:55

    AI API를 활용한 기능을 안드로이드 앱에 적용한 후, 최적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성능 개선 방안을 정리한다. 예제 코드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.

    1. AI API 연동 방식 선택

    AI API를 연동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.

    • 클라이언트 기반 (On-Device AI): 네트워크 의존도를 낮추고 응답 속도를 높일 수 있으나, 디바이스의 성능이 충분해야 한다.
    • 서버 기반 (Cloud AI API): 연산을 서버에서 처리하여 디바이스의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, 네트워크 속도와 비용이 고려되어야 한다.

    앱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분석한 후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

    2.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

    서버 기반 AI API를 사용할 경우, 네트워크 요청 최적화가 필수적이다.

    비동기 처리

    네트워크 요청이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되면 UI가 멈출 수 있으므로, Retrofit을 사용하여 비동기 처리한다.

    interface AiApiService {
        @POST("/analyze")
        suspend fun analyzeImage(@Body request: ImageRequest): ApiResponse
    }
    
    val retrofit = Retrofit.Builder()
        .baseUrl("https://example.com")
        .addConverterFactory(GsonConverterFactory.create())
        .build()
    
    val apiService = retrofit.create(AiApiService::class.java)
    
    suspend fun analyzeImage(image: Bitmap) {
        val request = ImageRequest(image.toBase64())
        val response = apiService.analyzeImage(request)
        Log.d("AI Response", response.result)
    }

    데이터 압축 및 캐싱 적용

    • Gzip 압축 사용: API 요청 및 응답 데이터 크기를 줄인다.
    • 캐싱 적용: Room이나 SharedPreferences를 활용하여 동일한 요청이 반복되지 않도록 설정한다.
    val client = OkHttpClient.Builder()
        .addInterceptor { chain ->
            val request = chain.request().newBuilder()
                .header("Accept-Encoding", "gzip")
                .build()
            chain.proceed(request)
        }
        .build()

    3. AI 모델 호출 최적화

    AI API 호출 빈도를 최소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해야 한다.

    • 불필요한 호출 제거: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API를 호출하도록 로직을 설계한다.
    • 경량화된 모델 활용: TensorFlow Lite 등의 경량 모델을 사용하여 속도를 개선한다.
    val tflite = Interpreter(File(modelPath))
    val input = FloatArray(28 * 28) { 0.0f }
    val output = FloatArray(10)
    tflite.run(input, output)
    Log.d("TFLite", "Result: ${output.joinToString()}")

    4. 응답 데이터 처리 최적화

    API 응답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JSON 파싱을 최적화한다.

    Moshi를 활용한 빠른 파싱

    Gson보다 Moshi의 성능이 우수하므로 Moshi 사용을 권장한다.

    val moshi = Moshi.Builder().build()
    val jsonAdapter = moshi.adapter(ApiResponse::class.java)
    val response = jsonAdapter.fromJson(jsonString)

    UI 업데이트 최적화

    RecyclerView 업데이트 시 DiffUtil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렌더링을 최소화한다.

    val diffCallback = object : DiffUtil.ItemCallback<DataItem>() {
        override fun areItemsTheSame(oldItem: DataItem, newItem: DataItem) = oldItem.id == newItem.id
        override fun areContentsTheSame(oldItem: DataItem, newItem: DataItem) = oldItem == newItem
    }

    5. 배터리 및 리소스 사용 최적화

    AI API는 배터리 소모가 많을 수 있으므로 최적화가 필요하다.

    • WorkManager 활용: 네트워크가 연결된 경우에만 AI API를 호출하여 배터리를 절약한다.
    • JobScheduler 사용: 백그라운드 작업을 스케줄링하여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방지한다.
    val constraints = Constraints.Builder()
        .setRequiredNetworkType(NetworkType.CONNECTED)
        .build()
    
    val workRequest = OneTimeWorkRequestBuilder<AiApiWorker>()
        .setConstraints(constraints)
        .build()
    
    WorkManager.getInstance(context).enqueue(workRequest)

    6. 로깅 및 모니터링

    AI API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해야 한다.

    • Firebase Performance 활용: 네트워크 요청 속도 및 지연 시간을 모니터링한다.
    • Crashlytics를 통한 오류 추적: AI API 호출 중 발생하는 오류를 분석한다.
    • 사용자 피드백 반영: 실제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능을 개선한다.
    Firebase.performance.newTrace("AI_API_Performance").apply {
        start()
        stop()
    }

    결론

    AI API를 안드로이드 앱에 적용한 후 최적화를 진행하면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. 주요 최적화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.

    • 네트워크 요청 최적화
    • AI 모델 호출 최적화
    • UI 렌더링 개선
    • 배터리 및 리소스 최적화
    • 성능 모니터링 및 로깅 강화

   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개발하면 보다 최적화된 AI 기반 앱을 구현할 수 있다.

     

    Reference 

    1. Retrofit 공식 문서: https://square.github.io/retrofit/
    2. TensorFlow Lite 공식 문서: https://www.tensorflow.org/lite
    3. WorkManager 공식 문서: 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topic/libraries/architecture/workmanager
    4. Firebase Performance Monitoring: https://firebase.google.com/docs/perf-mon
Designed by Tistory.